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빈대 물린자국, 빈대 퇴치 방법, 빈대 예방법 안내

반응형

빈대 물린 자국, 빈대 퇴치 방법, 빈대 예방법 안내 

요즘 연일 매스컴에서는 빈대에 대한 이야기들이 넘쳐 납니다. 대구시의 한 대학교 기숙사에서 처음 발견 신고를 시작으로 순식간에 전국적으로 빈대 출몰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유럽에서도 빈대로 인해 사회문제로까지 이슈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빈대가 왜 문제가 될까요?

빈대는 모기처럼 사람이나 동물들의 피를 빨아 먹으며 살아갑니다. 하지만 빈대는 모기보다 약 10배나 많은 피를 빨기 때문에 모기에 물렸을 때 보다 더 가렵고 붓는 면적도 더 넓어집니다. 벌레 물림에 대한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들은 빈대에 물리는 것을 조심해야 합니다. 

빈대에 물린 자국

모기 물린 자국과 비슷

일반적으로 빈대에 물린 자국은 모기에 물린 자국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빈대도 모기와 마찬가지로 피를 빨아먹고 살아가는 해충으로 피부를 물고 피를 빨기 때문에 피부에 알레르기 반응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사진 출처 : 영국 BBC

빈대에 물렸을 때 대처법

정부의 '빈대 예방, 대응 정보집'에는 빈대에 물렸을 때의 대처 방법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빈대에 물렸을 때에는 물과 비누로 물린 부위를 씻고 증상에 따른 치료법과 의약품 처방을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고 합니다. 일반적으로는 가려움증이 지속되면 벌레에 물린 뒤 바르는 연고를 바르시면 됩니다. 빈대에 물렸을 때의 반응은 사람마다 다르고 그 영향이 최대 열흘까지 간다고 합니다.

시원한 거즈나 천을 물린 곳에 가볍게 덮는 것, 물린 부위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물린 곳을 긁는 것은 피해야 할 행동입니다. 

빈대에 물렸을때에는 물과 비누로 물린 곳을 씻자

 

빈대는 어디에 살고 있나?

집이나 다중이용 시설등에서 빈대가 있는지 확인을 하려면 침대 매트리스나 침대의 프레임, 소파, 책장, 쿠션등의 침구류 틈사이를 잘 살펴보아야 합니다. 빈대의 똥등의 흔적이나 노린내, 곰팡이 냄새가 나는 지점을 찾아보아야 합니다. 그 주변에는 빈대가 있을 확률이 크기 때문입니다. 

빈대 퇴치 방법

방역업체를 통하면 방역하는 데에 100만 원 이상이 넘는 견적을 받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집의 크기에 따라 상황에 따라 금액이 변경될 수 있지만 빈대를 잡는다고 100만 원을 소비하는 것은 충분한 부담이 됩니다. 하지만 업체를 통하더라도 완벽한 박멸은 장담하지 못한다고 하니 빈대박멸이 그만큼 어렵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래서 빈대가 출몰하는 경우 요즘은 셀프 방역으로 해결하려고 합니다. 

 

셀프 방역 방법

전문가들은 집안에서 빈대를 발견하였을 경우 침대 매트리스나 소파 커버 등을 진공청소기를 통해 흡입 청소를 합니다. 그리고 빈대가 출몰하는 부분, 빈대의 흔적이 있는 부분에는 스팀다리미를 이용해 고온의 스팀을 지속적으로 분사하는 물리적인 방역을 추천했습니다. 그리고 옷이나 침구류를 큰 비닐봉지에 밀봉하여 큰 냉동고가 있다면 3,4일 정도 넣어 두는 것도 퇴치에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빈대에 오염된 침구는 뜨거운 물로 세탁을 하고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는 방법도 빈대 퇴치에 도움이 됩니다. 

 

빈대 예방 방법

빈대는 사람 몸이나, 가방, 의류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전파됩니다. 전파 방법이 워낙 다양하기에 빈대를 100% 차단하는 것은 무척이나 어려운 일입니다. 해외 여행 시나 다른 장소에서 숙박을 하거나 여행을 하고 집으로 돌아 올때에는 여행시 착용했던 옷이나 여행용품 등에 빈대나 빈대의 흔적이 없는지 확인을 하고 중고 가구나 중고 소파, 침대 등에 빈대가 있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철저한 소독을 통해 집안으로 반입을 해야겠습니다. 그리고 집의 갈라진 틈이나 벽지 안쪽에 빈대가 숨어 있을 만한 곳을 찾아 방역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여행 또는 외출 후 몸, 의류, 가방 등을 철저히 확인 
  • 중고 가구, 소파, 침대 등은 사전 소독을 통해 방역을 한 후 집안으로 이동
  • 집안의 갈라진 바닥, 벽 틈을 확인 필요, 벽지 안쪽 등 방역 진행

오늘은 빈대 물린 자국, 빈대 퇴치 방법, 빈대 예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성가신 해충인 빈대가 집안에 서식하지 않도록 각별하게 주의를 해야 할 것 같습니다. 한 마리만 집안에 있어도 번식력과 생명력이 어마어마하다고 하니 철절한 예방으로 집안에는 얼씬도 하지 못하게 해야겠습니다.

 

https://orcalife.tistory.com/entry/%EB%B9%88%EB%8C%80%EA%B0%80-%EC%9C%A0%ED%96%89%EC%9D%B4%EB%9D%BC%EA%B3%A0-%EC%A6%9D%EA%B0%80%ED%95%98%EB%8A%94-%EC%9D%B4%EC%9C%A0-%EB%B9%88%EB%8C%80-%EC%8B%A0%EA%B3%A0-%EB%B0%A9%EB%B2%95-%EC%95%88%EB%82%B4

 

빈대가 유행이라고? 증가하는 이유? 빈대 신고 방법 안내

빈대가 유행이라고? 증가하는 이유? 빈대 신고 방법 안내 한국에서 갑자기 빈대 이야기가 왜 나오게 되었을까요? 우리나라는 1970년대까지만 해도 빈대는 익숙한 존재였습니다. 청결 상태가 현재

orcalife.tistory.com

 

반응형